구글의 엔지니어인 Steve Yegge 씨가 구글직원들을 대상으로 보낸 메일이 실수로 사외로 보내져, 공개되었다. 현재 메일은 삭제된 상태로, 주된 내용은 구글의 플랫폼에 대한 이해부족을 걱정하는 것이었다.
다음은 주요 내용. :
・구글은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서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수장부터 말단사원에 이르기까지, 구글은 플랫폼이란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구글을 위험으로 몰고 있다.
・난 과거 6년간의 근무를 통해, 구글이 플랫폼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처음엔 마이크로소프트나 아마존이나 페이스북과 경쟁하면서 이 점을 깨달으리라 생각했는데 오산이었다.
・ 제품은 플랫폼없이는 무의미한 존재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플랫폼을 갖지 못한 제품은 다른 제품으로 간단히 대체된다.
・ 구글+는 구글이 플랫폼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 가장 좋은 실패작이다. 플랫폼제작에는 그 플랫폼 상에서 제품을 개발해주는 협력자와의 협동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구글+공개 때, 구글은 개발자용으로는 제대로 된 API조차 제공해주지 않았다. 내가 재차 확인했을 때도, 빈약한 API콜이 하나 있을 뿐이었다. 팀 멤버에게 '이건 스토커용 API냐?'하고 물었더니 그녀는 화를 참으면서 '그래요' 하고 답했다. 그 단 하나의 API는 누군가의 스트림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 구글+는 '페이스북이 성공했던 것은 그들이 좋은 제품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잘못된 전제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페이스북이 성공한 것은 제품이 좋아서가 아니다. 페이스북이 그 플랫폼 상에서 어플을 만들어주는 개발자를 배려하고, 그들이 일하기 쉽도록 환경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이스북은 누구에서도 특별한 것이 되었다. 페이스북에서 소셜게임인 Mafia Wars 만 즐기는 사람도 있다 또 다른 사람은 FarmVille을 즐긴다. 수백, 수천의 다양한 질높은 사용방법을 가진 것이다. 페이스북은 누구나 즐길만한 컨텐츠를 갖추고 있다.
・ 구글+ 플랫폼에는, 나중에 생각나서 추가한 것이 너무 많다. 구글+팀은 서비스를 개시하고 나서 '큰일났어! 구글+에는 게임이 없잖아. 게임을 개발해 줄 사람과 계약해야겠다'하고 말했다. 이같은 생각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우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유저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예측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그러한 예측은 힘들다. 신뢰하기에 충분한 예측가는 정말 극소수다. 스티브 잡스가 그런 사람들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스티브 잡스는 없다. 유감이지만 그건 사실이다.
・ 구글이 직면한 문제는 매우 크고, 기업문화의 극적인 변화를 필요로 한다. 플랫폼제조의 철칙은 'Eat Your Own Dogfood(팔기 전에 사내에서 시험해 봐라')다. 다른 회사들은 모두 이렇게 작업한다. 하지만 구글에는 그러한 환경이 없고 문화도 없다.
・ 너무 늦었다고는 말하지 않겠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돌이킬 수 없이 힘들게 될 것이다.
우리는 바로 달라져야 한다.
・구글은 제품을 만드는 기업에서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수장부터 말단사원에 이르기까지, 구글은 플랫폼이란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구글을 위험으로 몰고 있다.
・난 과거 6년간의 근무를 통해, 구글이 플랫폼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처음엔 마이크로소프트나 아마존이나 페이스북과 경쟁하면서 이 점을 깨달으리라 생각했는데 오산이었다.
・ 제품은 플랫폼없이는 무의미한 존재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플랫폼을 갖지 못한 제품은 다른 제품으로 간단히 대체된다.
・ 구글+는 구글이 플랫폼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 가장 좋은 실패작이다. 플랫폼제작에는 그 플랫폼 상에서 제품을 개발해주는 협력자와의 협동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구글+공개 때, 구글은 개발자용으로는 제대로 된 API조차 제공해주지 않았다. 내가 재차 확인했을 때도, 빈약한 API콜이 하나 있을 뿐이었다. 팀 멤버에게 '이건 스토커용 API냐?'하고 물었더니 그녀는 화를 참으면서 '그래요' 하고 답했다. 그 단 하나의 API는 누군가의 스트림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 구글+는 '페이스북이 성공했던 것은 그들이 좋은 제품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잘못된 전제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페이스북이 성공한 것은 제품이 좋아서가 아니다. 페이스북이 그 플랫폼 상에서 어플을 만들어주는 개발자를 배려하고, 그들이 일하기 쉽도록 환경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이스북은 누구에서도 특별한 것이 되었다. 페이스북에서 소셜게임인 Mafia Wars 만 즐기는 사람도 있다 또 다른 사람은 FarmVille을 즐긴다. 수백, 수천의 다양한 질높은 사용방법을 가진 것이다. 페이스북은 누구나 즐길만한 컨텐츠를 갖추고 있다.
・ 구글+ 플랫폼에는, 나중에 생각나서 추가한 것이 너무 많다. 구글+팀은 서비스를 개시하고 나서 '큰일났어! 구글+에는 게임이 없잖아. 게임을 개발해 줄 사람과 계약해야겠다'하고 말했다. 이같은 생각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우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유저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예측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그러한 예측은 힘들다. 신뢰하기에 충분한 예측가는 정말 극소수다. 스티브 잡스가 그런 사람들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스티브 잡스는 없다. 유감이지만 그건 사실이다.
・ 구글이 직면한 문제는 매우 크고, 기업문화의 극적인 변화를 필요로 한다. 플랫폼제조의 철칙은 'Eat Your Own Dogfood(팔기 전에 사내에서 시험해 봐라')다. 다른 회사들은 모두 이렇게 작업한다. 하지만 구글에는 그러한 환경이 없고 문화도 없다.
・ 너무 늦었다고는 말하지 않겠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돌이킬 수 없이 힘들게 될 것이다.
우리는 바로 달라져야 한다.
덧글
제가 옮긴 일본어 원문 상에는 我々は、サービスを届ける前に、ユーザーが何を欲するのかを予測すべきだった。
'우리는 서비스를 전달하기 전에 유저가 무엇을 원하는지 예측해야 했다' 하고 나와있어서요..... -_-;
Our Google+ team took a look at the aftermarket and said: "Gosh, it looks like we need some games. Let's go contract someone to, um, write some games for us." Do you begin to see how incredibly wrong that thinking is now? The problem is that we are trying to predict what people want and deliver it for them.
You can't do that. Not really. Not reliably. There have been precious few people in the world, over the entire history of computing, who have been able to do it reliably. Steve Jobs was one of them. We don't have a Steve Jobs here. I'm sorry, but we don't.
구글플러스 팀은 [페이스북이 창출한] 2차 시장만 보고 이렇게 생각했다. "맙소사, 게임이 필요할 것 같아. 어디 가서 우릴 위해 게임을 만들어줄 사람을 찾아보자." 이제 와보니 저런 생각이 어떤 점에서 잘못되었는지 보이나? 문제는 우리가 사람들이 뭘 원하는지 예측하여 제공하려 한다는 데 있다.
그건 불가능하다. 사실상 불가능하다. 적어도 지속적으로는 못 한다. 컴퓨터 역사를 통틀어 그걸 지속적으로 할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사람이 있기는 했고, 스티브 잡스는 그 중 한 사람이었다. 우리에게는 스티브 잡스가 없다. 미안하지만, 우리에게 잡스 같은 사람은 없다.
말인즉슨 , 너무 페이스북만 보고 쫓다가 쓸데없이 복잡해진것 같다는게 제 사견입니다.
이글루스를 쓰지 않아서 트랙백은 사용이 안되네요.
혹시 퍼가는 게 문제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